직업상담사2급 자격증 시험 독학 고용노동부 직업상담직렬 공무원 시험 독학 직업상담학 이론 요약 게슈탈트 상담이론 5개의 신경층, 상담 목표, 치료 원리
형태주의 상담의 목표
형태주의 상담의 중요한 목표는 알아차림과 접촉이라는 치료원리를 통해 개인의 성장과 통합, 각성을 돕는 것이다.
개인은 책임 있는 인간이 될 때 성숙이 이루어진다.
1. 내담자의 체험을 확장
내담자의 감정 지각 사고 신체감각 그리고 환경에 대한 지각을 확장함으로써 환경과 효과적으로 접촉하면서 자신의 욕구를 표현하고 충족하는 것을 배우게 한다
2. 내담자의 인격을 통합
소외되어온 인격의 부분들을 알아차리고 체험함으로써 자신의 인격으로 통합시키도록 돕는다
3. 내담자의 자립능력을 증진
치료자는 내담자가 스스로 자신을 보살필 수 있다고 믿고 내담자의 자립능력을 일깨워 회복되도록 돕는다
4. 자신의 삶에 대한 책임을 자각
내담자가 타인에 대한 의존성을 버리고 스스로 자신의 행동을 선택하고 책임질 수 있도록 돕는다
5. 내담자의 성장을 도움
내담자의 병적인 부분을 교정 하는 것이 아니라 내담자의 자생력을 북돋아 스스로 극복하고 새로운 시도와 성장을 하도록 돕는다
6. 내담자의 실존적 삶을 촉진
내담자의 내적인 자신의 유기체적 욕구를 받아들이는 동시에 외적으로 타인이나 자연 세계를 그들 본연의 모습으로 인식해 진실한 접촉을 하도록 돕는다
접촉 경계와 접촉경계혼란
접촉 경계란 개체와 환경간의 경계를 의미한다. 개체와 환경의 경계에 문제가 생기게 되면 환경과의 유기적인 교류 접촉이 차단되고 심리적 신체적 혼란이 생긴다.
개체는 이로 인해 미해결 과제를 쌓게 되고 마침내 환경에 창조적으로 적응하는데 실패한다.
PEARS, 5개의 신경층 (양파껍질 벗기기 과정)
펄스는 인간의 성격을 펼쳐 보이는 것을 양파 껍질 벗기는 것에 비유하면서 접촉경계혼란을 극복하고 심리적 성숙에 이루기 위하여 5개 신경층 상태를 통과해야 한다고 보았다.
1. 허위층, 피상층 - 의례적, 가짜 행동, 자신에게 아무 문제가 없는 것처럼 행동
2. 공포층, 연기층 - 자신이 타인에게 거부당할 것이라는 비현실적인 공포와 두려움을 느끼지만 감정을 숨기고 배우처럼 주어진 역할을 연기하며 살아간다.
3. 곤경층, 교착층, 난국층, 막다른 골목층 - 역할 연기를 그만두고 자립을 시도하지만 실존적 딜레마에 빠져 꼼짝 못 하고 공포감과 공허함을 느낀다
4. 내파층, 내적 파열층 - 자신의 내면적 욕구와 감정을 알아차리고 진정한 자기를 인식하지만 그대로 표출 되면 타인과의 관계를 악화시킬 수 있는 파괴력을 지니기 때문에 표현되지 못한 채 긴장상태를 초래한다. 이 단계에 이르면 우리는 자신의 방어를 노출시키고 진정한 자기를 만나게 된다
5. 외파층, 외적 파열층, 폭발층 - 더 이상 자신의 욕구와 감정을 억압하지 않고 외부로 표출하는 단계 낡은 자기가 버려질 때 정신과 신체의 총체적인 통합을 경험하고 타인과의 관계에서도 실존적인 참 만남이 가능하게 된다.
게슈탈트 치료 원리
알아차림
알아차림은 유기체의 내면적 요구를 변경으로 떠올려 관한 게슈탈트를 형성한 울었어 이런 욕구의 관계를 가능하게 해준다. 알아차림은 치료 장면에서 크게 두 가지 목적으로 중시된다. 첫 번째는 미해결과제를 알아차림으로써 과제를 해서 하는 것이고 두 번째는 현재상황에서 새롭게 일어나는 욕구나 감정을 알아차려 게슈탈트를 형성해가는 것으로 두 가지 알아차림 모두 중요하고 두 작업은 서로 보완적인 관계이다.
접촉
접촉은 자기 자신과의 접촉, 대인 관계 접촉, 환경과의 접촉으로 구분된다.
1. 자기 자신과의 접촉
억압된 성욕구, 해결되지 않은 분노감 해소되지 않은 슬픔, 충족되지 않은 애정욕구 등 자신이 회피하고 차단했던 미해결 과제에 접촉을 증진하도록 돕는다.
2. 대인 관계 접촉
일반적으로 접촉이라고 하면 대인 관계 접촉을 말하며 기본적인 단위는 두 사람 간의 접촉이다. 좋은 대인 관계 접촉을 위해서는 나와 다른 사람의 경계가 명확해야 한다
3. 환경과외 접촉
환경이란 인간이나 모든 생물, 무생물을 뜻한다. 인위적인 분석 없이 그냥 환경을 있는 그대로 지각하고 만나는 것을 의미한다. 환경과의 접촉은 자기 자신과의 접촉 및 대인 관계 접촉을 증진시킨다.
치료기법
1. 지금 여기에 체험에 초점 맞추기
- 욕구와 감정 알아차리기, 신체감각 알아차리기, 언어와 행위 알아차리기, 환경 알아차리기
2. 직면시키기
내담자의 부적절한 행동을 지적하는 동시에 진정한 동기를 증명시켜줌으로써 미해결 과제를 해소하도록 돕는다
3. 역할 연기하기
내담자가 자신에게 중요했던 과거의 장면이나 미래의 있을 장면을 실제 상황처럼 상상하면서 어떤 행동을 실제로 해 보도록 하는 것이다
4. 빈의자기법
내담자에게 중요한 사람이 빈 의자에 앉아 있다고 상상하면서 그 사람에게 실제로 하고 싶은 말과 행동을 하게 하는 방법이다.
때로는 내담자의 내면적 갈등을 두 개의 인격체로 나누어 각각을 두 개의 빈 의자에 앉게 하여 대화를 나누게 할 수 있다
5. 꿈 작업하기
꿈 속에 나타나는 모든 인물뿐 아니라 자연물, 물건 등 모든 것이 자신의 일부를 외부로 투사한 것으로 간주하며, 꿈은 내담자의 투사 내용을 발견하게 알아차리는 좋은 소재로 취급한다
6. 창조적으로 투사하기
자신의 투사를 자각하여 자기 자신이 만들어 낸 것임을 알아차리는 경우는 창조적 투사라고 하고 알아차리지 못하는 경우 병적인 투사라고 한다
#직업상담사2급 자격증 시험 독학 고용노동부 직업상담직렬 공무원 시험 독학 직업상담학 이론 요약 게슈탈트 상담이론 부적응 행동, 상담 목표
'꿀Tip > 직업상담 심리상담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으로 정리한 청소년기의 인지 특징 + 정보처리이론 관점 (0) | 2023.01.11 |
---|---|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스키마 Scheme 도식 동화 조절 적응 (0) | 2022.12.25 |
직업상담사2급 직업상담학 이론 게슈탈트 상담이론 정리-2 부적응 행동 (0) | 2020.09.15 |
직업상담사2급 직업상담학 이론 게슈탈트 상담이론 정리-1 (0) | 2020.09.03 |